스토리창고/작품분석

여행의 여정 플롯 참고할 때? 영화 'A.I' 기승전결 엿보기

고죠샘 2025. 1. 11. 20:42
반응형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A.I. Artificial Intelligence (2001)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를 다룬 감동적인 SF 영화입니다. 영화의 줄거리를 기승전결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화 a.i



기: 부모로 사랑의 감정을 느끼다
배경은 인공지능(AI) 로봇과 함께 살아가는 인류를 배경으로 시작됩니다. 로봇 회사인 사이버트로닉스는 인간의 감정을 느끼고 사랑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는데, 아이를 갖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서 개발된 아동 로봇의 프로토타입인 데이비드는 친아들 마틴이 불치병에 걸려서 냉동인간이 된 윈스터 부부에게 입양이 됩니다. 인간처럼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데이빗은 가족의 사랑을 받으려고 노력하며, 엄마 모니카와 유대감을 쌓아갑니다.


승: 사람이 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다
모니카와 데이빗은 행복한 시간을 보내지만, (갈등) 마틴이 병에서 회복하면서 데이빗은 가족 안에서 점차 갈등을 빚습니다. 데이빗은 인간과 다르다는 이유로 위험한 존재로 간주되고, 결국 (외적 위기) 모니카는 그를 숲에 버립니다사랑받고 싶었던 데이빗은 인간이 되면 엄마의 사랑을 되찾을 수 있다고 믿고, 자신을 인간으로 만들어 줄 전설 속의 파란 요정을 찾아 떠납니다.

전: 인간과 AI의 경계에서 충격을 받다
데이빗은 로봇인 친구 지골로 조와 함께 여정을 이어가며 (혼란) 인간 세상의 잔혹함과 AI에 대한 편견을 목격합니다. 그는 자신의 창조자인 프로페서 호비를 만나 (내적 위기) 자신이 특별한 존재가 아니며 단순히 여러 로봇 중 하나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충격에 빠진 데이빗은 자신을 인간으로 만들어줄 방법을 계속 찾아 헤매고, 결국 파란 요정이 있다는 해저 도시로 향합니다.


결: 무한한 소원을 빌다
데이빗은 침몰한 도시에서 파란 요정의 동상을 발견하고, 그녀에게 간절히 소원을 빕니다. 수천 년이 지나고, 인류는 멸망합니다. 미래의 고도로 진화한 AI 생명체들이 데이빗을 발견하고 그의 기억을 복원해줍니다. 이들은 데이빗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모니카의 복제본을 하루 동안 함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데이빗은 사랑받는 순간을 경험하며 행복하게 '잠'에 들고, 이야기는 마무리됩니다.


주인공은 버려지는 것을 계기로 강렬한 욕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이 되어 부모의 사랑을 받고 싶은 거죠. 이런 강렬한 욕망이 사건을 만들어 나갑니다.

 

action.1 소원을 들어준다는 파란요정을 찾으러 나가고

action.2 그 과정에서 조를 만나 다양한 사회를 목격하고

action.3 박사를 찾아 진실을 발견하고

action.4 파란 요정 동상을 발견해 소원을 빕니다. 

 

여행의 여정으로 스토리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플롯이죠. 여기에 로봇들의 시각에서 인류의 사회를 보고, 이것이 또 볼거리생각할 거리들을 제공합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소설로는 김영하의 <작별인사>가 있습니다. 


메인을 관통하는 플롯은 무엇일까?

[탐색]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탐색 플롯의 핵심 요소는 주인공이 특정 목표나 소망을 이루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는 것입니다.

적용: 데이빗은 인간이 되어 엄마의 사랑을 되찾고 싶다는 목표를 가지고 여정을 떠납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장애물(편견, 인간과 로봇 간 갈등)을 극복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합니다. 탐색 플롯은 데이빗의 여정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 이야기입니다.

 

이런 플롯의 또다른 예시로 참고할 수 있는 작품은 <라이온킹>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탐색에 대한 플롯으로 참고할 만한 스토리를 찾고 있다면 영화 A.I를 추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