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토리창고/현대레퍼런스 5

도박, 갬블러 장르물 추천, 김진명 작가 <카지노> 이야기 구조

링크로 구매시 글쓴이에게 소정의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오늘은 김진명 작가의 작품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김진명 작가는 문장에 수려한 수식어 없이 마치 영화나 드라마를 보듯 몰입하게 만드는 스타일이 매력적인 작가입니다. 대사가 다른 소설에 비해 굉장히 많이 나옵니다.  어쩌면 웹소설이나 웹툰, 영화, 드라마와 같은 콘텐츠에 가장 잘 어울리는 스타일이 아닐까 싶은데요. 스토리 짜임이나 웹소설을 위한 인풋 작품으로도 추천드립니다.  그럼 구조를 살펴볼까요?  이야기 구조이야기는 두가지 갈래가 모여 하나의 이야기로 흡수되는 구조입니다. 주인공인 서후와 우학장의 제자(현학/혜기)의 스토리가 처음에는 각자 흘러갑니다.  아래 구조를 보시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아요.이야기를 기승전결로 나눠보겠습니다.[서후stor..

여행의 여정 플롯 참고할 때? 영화 'A.I' 기승전결 엿보기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A.I. Artificial Intelligence (2001)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를 다룬 감동적인 SF 영화입니다. 영화의 줄거리를 기승전결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기: 부모로 사랑의 감정을 느끼다배경은 인공지능(AI) 로봇과 함께 살아가는 인류를 배경으로 시작됩니다. 로봇 회사인 사이버트로닉스는 인간의 감정을 느끼고 사랑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는데, 아이를 갖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서 개발된 아동 로봇의 프로토타입인 데이비드는 친아들 마틴이 불치병에 걸려서 냉동인간이 된 윈스터 부부에게 입양이 됩니다. 인간처럼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데이빗은 가족의 사랑을 받으려고 노력하며, 엄마 모니카와 유대감을 쌓아갑니다.승: 사람이 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다모니카와 데이..

[소년물] 여성 독자를 끌어들이고 싶다면? 귀멸의 칼날 VS 주술회전 비교

소년물 하면 아무래도 남성 독자층을 주로 생각할텐데요, 예전에 비해 독자층의 성별의 구분이 많이 모호해지는 추세입니다. 특히 소년 만화의 독자층이 다양해지면서, 여성 독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액션·무협 만화인 '사카모토 데이즈 14'의 경우, 여성 구매 비율이 60.6%로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액션 장르에서도 여성 독자층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한국의 대표적인 무협 만화 '열혈강호 90'의 구매자 중 약 30%가 여성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남성 독자가 많았던 무협 장르에서도 여성 독자층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지갑은 여성이 연다"...'소년만화' 대세였던 출판만화도 이제 여성이 '큰손'(한국..

[로코물] 앨리맥빌(Ally Mcbeal), 30대 초반 방황하는 여자들을 위한 미드

이 미드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개인적으로 여러번 본 미드를 꼽으라면 저는 앨리맥빌을 빼놓을 수가 없습니다. 1997년에 시작해 2000년까지 5시즌을 선보인 드라마인데요. 아날로그, 향수, 90년대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좋아할 것 같습니다. '그레이 아나토미'나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금발이 너무해' 그 시즌 즈음의 향수를 느낄 수 있습니다.  장르 > 법정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메인 캐릭터 > 앨리맥빌 (Ally Mcbeal) 주인공을 이렇게 설명하면 와닿을 것 같습니다. 지금도 우리 주변에 있을만한 딱 그런 사람입니다."아니, 얼굴도 이쁘고, 똑부러지고, 직장도 괜찮고, 성격도 뭐, 살짝 까탈스러울 때도 있긴 한데 의외로 허당기도 있어서 귀엽게 보일 때도 있어. 진짜 다 괜찮은..

[스포츠물] 농구 편 #슬램덩크 #쿠로코의 농구 #가비지타임

농구 애니메이션 하면 떠오르는 대표 작품부터, 근래에 주목받은 작품까지 한번 둘러보겠습니다.1. 슬램덩크 솔직히 말이 필요 없는 작품이죠. 개인적으로 스포츠물 농구 쪽에서 슬램덩크를 이긴 작품은 아직까지 없다고 생각합니다. 농구 관련해 영화, 만화, 드라마 다 통틀어 클래식이라고까지 표현해도 될 만큼 훌륭한 작품입니다.  슬램덩크를 한 줄로 요약하면 농구에 눈을 뜬 초보(강백호)가 농구천재로 거듭나는 이야기가 아닐까요?  여기에 팀 내 에이스(서태웅) 라는 라이벌요소를 구도로 넣었습니다. 라이벌이라면 누구나 다 싫어하는 감정을 일으키지만, 초보가 에이스를 라이벌로 생각하는 것도 이상하죠. 그래서 적대감을 유발하는 시작점(장치)는 채소연이라는 여학생이 담당합니다. 저 녀석을 싫어하는 이유를 만들기 위해 이..

반응형